[자료구조] 연결 리스트(Linked List)
연결 리스트(Linked List)Linked List란, 원소 간의 연결(link)을 이용해서 리스트를 구현한 것이다. 이전 포스트에서 설명한 Array List는 논리적인 순서와 물리적인 순서가 같기 때문에 원소의 위치를 찾아 접근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지만, 삽입이나 삭제 후에 연속적인 물리 주소를 유지하기 위해서 원소들을 이동시키는 추가적인 작업과
연결 리스트(Linked List)Linked List란, 원소 간의 연결(link)을 이용해서 리스트를 구현한 것이다. 이전 포스트에서 설명한 Array List는 논리적인 순서와 물리적인 순서가 같기 때문에 원소의 위치를 찾아 접근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지만, 삽입이나 삭제 후에 연속적인 물리 주소를 유지하기 위해서 원소들을 이동시키는 추가적인 작업과
Array ListArray List란, 동적 배열 중 하나이며 List를 만들 때 내부적으로 배열을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장점 : 접근이 빠르다Array List는 내부적으로 배열을 이용하기 때문에 인덱스를 이용해서 접근한다. 이렇게 인덱스를 이용하여 접근하면 해당 값의 위치를 한 번에 찾을 수가 있기 때문에 연결 리스트보다 데이터의 접근이 빠르다.
삽입정렬1. 삽입정렬의 개념삽입정렬은 index 1 부터 순서대로 index 위치의 값을 앞 부분의 적당한 위치에 삽입하며 정렬하는 것이다.그럼 7, 9, 5, 1, 3 을 오름차순으로 삽입정렬해보자. 1 단계 - index 1) 먼저 index 1 의 값인 9를 따로
버블정렬1. 버블정렬의 개념버블정렬은 인접한 두 개의 값을 비교하며 왼쪽 값이 오른쪽 값보다 크면 서로 위치를 바꾸는 방식이다.그럼 7, 9, 5, 3, 1 을 오름차순으로 버블정렬해보자. 1 단계) 먼저 index 0 과 index 1 의 값을 비교한다. 7, 9,
선택정렬1. 선택정렬의 개념선택정렬은 최솟값을 찾아 선택하여 위치를 바꿔가며 정렬하는 방식이다.그럼 7, 9, 5, 3, 1 을 오름차순으로 선택정렬해보자. 1 단계 - index 0)먼저 index 0 의 값인 7을 시작값으로 하여 7, 9, 5, 3, 1 중에 가장
일반 배열에 특정 값이 들어있는 지 확인하기방법 1) asList / contains 사용1Arrays.asList(array).contains(value); 방법 2) equals 사용12345for(String s: arr){ if(s.equals(targ
String -> int, int-> String 형변환1) String -> int 형변환1Integer.parseInt(str); 2) int -> String 형변환1String.valueOf(numInt); 123456789101112131